반응형

정부- 장애인 맞춤형 복지체계를 강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한국지체장애인협회, 한국장애인연맹, 한국농아인협회, 한국장애인부모회,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한국장루장애인협회, 한국척수장애인협회, 한국근육장애인협회, 한국여성장애인연합, 한국청각장애인협회, 한국자폐인사랑협회 등

이번 2025년도에 추진할 주요 장애인 정책에 대해 공유하면서 장애계와 정부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2025년도 주요 장애인 정책 추진과제>  

발달장애인 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확충(12개소→20개소) 

주간방과후 활동서비스 확대(주간 1.1만 명→1.2만 명, 방과후 1.0만→1.1만 명)-

활동지원 서비스 대상(12.4만 명→13.3만 명) 및 가산급여 확대(195시간→205시간)

개인예산제 시범사업 확대(8개 지역210명→17개 지역410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 대상 확대(6세 미만→9세 미만, +1.8만 명)

중증장애아동 돌봄 지원단가 인상(12,140원→14,140원)

장애인 연금 인상(334,810원→343,510원, 2.6%),, 장애인 일자리 확대(31.5천명→33.5천명) 

의료집중형 거주시설 시범사업 도입 (‘25) 6억 원(신규) 등 

보건복지부 은성호 인구사회서비스정책실장은 “정부는 장애인 맞춤형 복지체계를 강화해 나가면서, 소득지원과 일자리를 확충하는 등 경제적 자립을 비롯한 장애인의 자립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라며,  “을사년(乙巳年) 새해에는 정부와 장애인 단체 그리고 장애인 당사자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하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신년 인사말을 전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