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꿈의 항암제’로 불렸던 CAR-T 치료제는 면역세포인 T세포에 유전자를 삽입해 암세포를 정밀하게 공격하도록 설계된 유전자 치료제다. 혈액암을 대상으로 한 치료에서는 획기적인 효과를 보이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CAR-T의 한계도 분명해졌다. 폐암이나 췌장암처럼 암 조직이 고체 형태로 형성된 고형암에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었던 것이다.

이유는 명확하다. CAR-T가 암 조직 깊숙이 침투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더라도 도달하지 못한다면 치료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한국에서 시작됐다.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 박사 연구팀은 최근 인체 말초혈액에서 유래한 대식세포에 항암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삽입하고, 이를 활용한 유전자 치료 플랫폼 **‘CAR-M’(CAR-Macrophage)**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고형암을 대상으로 한 면역세포 치료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 성과로 평가된다.

CAR-M 기술은 대식세포를 기반으로 한다. 대식세포는 우리 몸에서 병원체나 이물질을 탐식(食)하며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선천 면역세포로, 고형암 내부까지 깊이 침투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대식세포에 암을 인식하는 유전자를 전달해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CAR-M은 기존 CAR-T 치료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치료 접근성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CAR-T 치료는 고비용·고위험 치료로 분류되며, 환자의 체력 상태나 면역기능에 따라 치료 가능 여부가 제한된다. 특히 중증 장애인, 고령자, 만성질환자 등 의료취약계층은 치료 대상에서 배제되기 쉬운 구조다.

반면 CAR-M은 적은 양의 혈액에서 유래한 대식세포로도 생산 가능하며, 이식 조건도 비교적 간단하다. 체력이나 신체 조건의 제한이 적은 만큼, 치료의 문턱을 낮출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박지훈 박사는 “CAR-M 기술은 고형암에 효과적인 면역세포 기반 치료제로, 장애인 등 기존 치료에서 소외됐던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박지훈 박사팀은 CAR-M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기업과의 기술이전 및 전임상 단계로의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폐암, 췌장암 등 난치성 고형암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CAR-M은 아직 임상 단계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향후 글로벌 면역세포 치료 시장에서도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초기 단계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한국에서 기술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선도적으로 마련한 것은 큰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는 단지 의학적 진보에 그치지 않는다. 과학은 혁신을 추구하는 동시에 포용성을 담보해야 한다. 누구나 치료받을 권리를 가져야 하며, 기술은 그 권리를 현실화하는 수단이어야 한다.

CAR-M은 바로 그 가능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다.
고형암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치료받기 어려웠던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기회를 줄 수 있는 기술.
그것이 CAR-M의 진짜 가치다.

“우리는 지금, 암을 이기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지만,
결국 그 기술이 닿아야 할 곳은 ‘사람’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고형암 치료의 한계를 넘는 유전자 세포치료제 개발에 성공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하거나 기존 치료에 접근하기 어려운 장애인 환자에게도 희망이 될 수 있어 주목된다.

한국화학연구원은 23일 박지훈 박사 연구팀이 말초 혈액에서 유래한 대식세포를 활용해 항암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CAR-M’(카-엠) 플랫폼 생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기존 ‘CAR-T’의 한계, 대식세포로 보완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제는 T세포에 유전자를 삽입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방식이다. 일부 혈액암에서 탁월한 효과를 보여 ‘꿈의 항암제’로 불려왔다.

하지만 폐암이나 췌장암 등 고형암의 경우, T세포가 암 조직 내부까지 침투하기 어려워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T세포 기반 치료는 고비용·고난도 기술로,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는 환자에겐 사실상 그림의 떡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면역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Macrophage)**에 주목했다. 대식세포는 선천면역의 핵심 세포로, 암세포 주변 환경 속 깊이 침투할 수 있다.

◆ 유전자 전달 한계 극복, ‘CAR-M’로 기능 강화

기존 대식세포 활용 시 문제는 유전자 삽입의 지속성과 효율성 부족이었다. 이번 연구는 이를 극복한 것이 핵심이다. 박 박사팀은 말초혈액에서 추출한 대식세포를 기반으로, 항암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CAR-M 시스템을 확립했다.

이 플랫폼은 T세포와 달리 체내 이식 후도 고형암 내부로 깊숙이 침투하며, 장기간 유전자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폐암, 췌장암 등 난치성 암 치료에 유의미한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장애인·면역저하자에 희망… 의료형평성 확장 기대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고비용 T세포 치료에서 소외되었던 장애인·노약자·면역저하자 등 의료 취약계층에게도 실질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CAR-T 치료는 고용량의 면역세포 수확과 장기 입원이 필수지만, CAR-M 치료는 비교적 적은 양의 혈액에서 유래한 대식세포를 기반으로 하고, 이식 조건도 간소화할 수 있다.

박지훈 박사는 “이번 기술은 암 치료의 새로운 접근이며, 경제적·신체적 제약이 있는 환자들도 접근할 수 있는 실용성이 크다”며 “치료 형평성과 공공의료 관점에서도 중요한 진전”이라고 밝혔다.

◆ 향후 전망: 기술이전 및 임상 준비

현재 연구팀은 해당 CAR-M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과의 기술이전 및 전임상 실험을 준비 중이다. 향후 임상 단계에 진입하면 폐암 등 고형암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성과는 국내 유전자 세포치료 기술의 국산화는 물론, 공공의료 확대와 치료 소외층 배려라는 사회적 가치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이와 관련하여 주식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들을 정리했다.

관련 주식 목록

동화약품 (000020): 제약 및 생명과학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

유틸렉스 (263050):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는 기업

앱클론 (174900): 항체 및 면역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는 기업

필룩스 (033180): 생명과학 및 진단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

제넥신 (095700): 유전자 치료제 및 면역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는 기업

녹십자셀 (031390): 세포 치료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 기업

반응형

+ Recent posts